Factory’s Post #4

[123 Factory] 월간 뉴스레터 2025년 5월호

한국-유럽 생태계와 비즈니스 성장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전달해드리는 Factory’s Post가 찾아왔습니다. 💡🏭

최근 유럽 기업들의 아시아 진출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의 관세 재정책 발표 이후 유럽 기업들이 ‘Going East’ 전략을 본격적으로 가다듬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 각국의 시장 특성과 진출 전략을 다룬 웨비나들이 잇따라 열리고 있습니다. 유럽이 아시아로 확장해 나가는 전략을 들여다보는 일은 우리가 ‘Going West’ 전략을 설계하는 데에도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데요, 단순한 참고를 넘어 유럽과 한국 기업 간의 지속적이고 의미 있는 교류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양방향 진출’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점점 더 실감하게 됩니다. 이번 Factory’s Post에서는 123 Factory가 직접 참석한 Sifted의 아시아 진출 전략 웨비나와 상하이 오토쇼를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바탕으로, 양방향 진출 전략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보려 합니다.

🌏 Going East에서 Going West로: 유럽과 한국 기업의 전략적 교차점

사진=Getty Images

실제로 유럽은 지금 아시아(특히 한국, 일본, 대만, 동남아)를 ‘성장형 전략 시장’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웨비나 발표에 따르면, 유럽의 전기차(EV) 및 배터리 관련 기업들은 기술 성숙도가 높은 한국을 ‘제조 및 수출 파트너’로 주목하고 있으며, 반대로 자국 내 배터리 소재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협력 파트너로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수출이 아닌, 현지 규제와 문화에 적응하며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글로벌 소재기업 Cabot은 “Going East” 전략을 통해 중국 내에서 그룹 전체 매출의 25%를 달성하며, 현지 문화 존중과 로컬 인재에 대한 권한 위임을 통해 시장에 깊이 뿌리내릴 수 있었다고 발표장에서 공유했습니다. 

한편, 한국 기업들의 유럽 진출도 더욱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더벨> 보도에 따르면, 두산은 두산로보틱스, 퓨어셀, 에너빌리티 등 계열사를 중심으로 유럽의 탄소중립, ESG, 재생에너지 전환 흐름에 맞춘 지속 가능한 기술 중심의 ‘Going West’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단순 수출이 아닌, 유럽 현지에서의 실증(PoC), 파트너십 체결, 기술 내재화 중심의 접근은 유럽 기업들이 아시아에 진출할 때 강조하는 방식과 맞닿아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양측 모두가 같은 방향을 향해 진출 전략을 고도화하고 있는 셈입니다.

이처럼 유럽에서 아시아로, 아시아에서 유럽으로의 ‘일방향’ 확장만으로는 더 이상 충분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협력은 양방향 진출과 기술/시장/인재의 상호 순환을 통해서만 가능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은 단지 시장 정보가 아닌 상호 이해와 현지화에 대한 진정성입니다. 123 Factory는 앞으로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양방향 진출을 실현할 수 있는 교두보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자 합니다. 기술과 산업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는 이 시대, 유럽과 한국은 서로의 거울이자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우주항공

🚀 발사 30초만에 폭발인데 “절반의 성공”? – 유럽 민간 우주항공 스타트업의 현재

사진=Isar Aerospace

지난 3월, 독일의 우주항공 스타트업 이자르 에어로스페이스(Isar Aerospace)가 첫 발사를 시도한 ‘스펙트럼(Spectrum)’ 로켓이 이륙 30초 만에 바다에 추락했습니다. 그러나 회사는 이를 “계획된 종료”라고 밝혔고, 기술적 데이터 확보와 안정적 발사 플랫폼 운영 측면에서 업계는 이를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했습니다. 자립형 기술력과 안전 프로토콜을 강조한 이번 시험은 향후 상업 발사의 전초전이었습니다.

이자르 외에도 스페인의 PLD Space, 스웨덴 본사의 Orbex 등 유럽 각지의 스타트업들이 친환경 연료, 재사용 기술, 자립적 발사 인프라를 앞세워 글로벌 발사 시장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은 ESA와 EU 중심의 정책적 드라이브와 함께 민간의 실험을 뒷받침하며 지속가능한 우주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지 기술 경쟁을 넘어, 스타트업 정신과 정책 혁신이 만나는 유럽형 우주산업 모델을 예고합니다.

유럽 민간 우주항공 스타트업에 관한 더욱 자세한 인사이트를 123 Factory 이은서 대표의 아티클, [유럽스타트업열전] "절반의 성공" 유럽 우주항공 스타트업의 현재와 미래에서 확인해 보세요!

모빌리티

⚠️ 독일의 모빌리티, 미국 손에 넘어가다 – Lyft, FREENOW 전격 인수 

미국 모빌리티 플랫폼 Lyft가 독일 기반의 모빌리티 예약 플랫폼 FREENOW를 약 1억 7,500만 유로에 인수합니다. 이번 거래로 Lyft는 유럽 9개국, 150여 개 도시로 확장되며 연간 약 10억 유로 규모의 Gross Booking 증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FREENOW는 현재와 동일한 방식으로 운영되며, 유럽 택시 시장에서의 입지를 유지할 계획입니다.

하지만 에스토니아 기반 경쟁사 Bolt는 “이제 우리가 마지막 남은 유럽 대안”이라며 유럽 모빌리티 주권에 경고음을 울렸습니다. BMW와 Mercedes-Benz가 Bolt와 Blacklane에도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FREENOW를 미국 기업에 넘긴 결정은 정치적 불안정성이 커진 지금 시점에서 특히 논란을 낳고 있습니다. 한편 Bolt는 최근 덴마크 택시 기업 Viggo를 인수하며 유럽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Lyft의 인수 소식부터 Bolt의 우려 목소리까지, Tech.eu기사에서 자세한 사항을 확인해 보세요.

지원 정보

🌐 ‘호라이즌 유럽’ 워크프로그램 안내 세미나

사진=k-erc.eu

2025년부터 한국이 EU의 연구혁신 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Horizon Europe)’준회원국(Associated Country)으로 합류하게 되었다는 반가운 소식을 지난 호에서 전해드렸었죠!  2021~2027년 무려 950억 유로(약 137조 원)가 투입되는 이 프로그램은 AI, 친환경 기술, 바이오·헬스, 우주 등 미래 산업을 아우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 프로젝트로, 한국 기업과 연구자들이 직접 펀딩을 받으며 글로벌 무대로 나아갈 절호의 기회입니다.

오는 13일에 Horizon Europe의 Pillar 2 워크프로그램에 관해 국내 연구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온라인 웨비나가 KERC에서 준비되어 있어 다시 한 번 소식을 공유드립니다😉 Pillar2 참여 준비 방법, 과제 참여 사례, 워크프로그램 2025 주요 내용 등 호라이즌 유럽에 본격적으로 참여하기 전에 워크프로그램의 내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 한국에서 지원할 수 있는 호라이즌 유럽 지원 사업 및 펀딩 정보

  • WE-RISE
    3월 12일 - 5월 14일 | 여성 창업 지원, 딥테크 스타트업
    여성이 주도하는 딥테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첫 번째 오픈 콜로, 그린테크, 애그리테크, 클라이밋테크 분야에서 활동하는 유럽 내 혁신 기업을 지원합니다.
    선발된 스타트업은 자금 지원은 물론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NGI Zero Commons Fund
    6차 공모: 4월 1일 마감, 이후 12월까지 약 2개월 간격으로 추가 공모 예정
    열린 디지털 공공재를 구축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를 위한 펀딩 프로그램으로, 오픈소스 기반의 인터넷 기술 개발자와 스타트업을 지원합니다. 호라이즌 유럽 참여국의 개인, 단체, 기관이 신청 가능하며, 보안성, 개인정보 보호, 투명성 등 공공 인터넷의 핵심 가치를 중시합니다.

  • Eureka - Call for circular value creation R&D projects
    6월 12일 - 9월 30일 | R&D
    오스트리아, 벨기에/플란더스, 캐나다, 칠레, 덴마크, 에스토니아, 프랑스, 독일,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튀르키예, 우크라이나의 정부 및 자금 지원 기관은 국제 순환 가치 창출 R&D 프로젝트 협력 조직에 자금을 지원합니다. R&D 프로젝트 신청은 최소 두 개국에 기반을 둔 두 개 이상의 조직이 참여해야 합니다.

123 Factory, Now

🇨🇳 상하이에서 모빌리티 혁신을 만나다: 123 Factory 상하이 모터쇼 방문기

123 Factory 팀은 지난주 중국 상하이 모터쇼(Auto Shanghai 2025)에 방문하였습니다. 상하이 내 다양한 파트너 기관 및 기업을 방문하였고, 모터쇼 전후로 열린 다양한 컨퍼런스와 미팅에 참여하였습니다. 이는 글로벌 모빌리티 혁신의 최전선에서 소중한 인사이트와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시간이었습니다.

특히, 독일 OEM과 Tier 1, 2 기업이 중국과 어떻게 협력하고 있는지, Volkswagen, ZF Group, Cabot Corporation, Bodo Möller Chemie, 3M 등 글로벌 리더 기업들과 함께 EV 공급망, 배터리 기술, 그리고 AI 기반 모빌리티 혁신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지켜보았습니다.

이를 통해 'In China, For China' 전략, 메가몰딩(Megamolding) 기술을 활용한 전지 팩 혁신, 그리고 아시아에서 유럽·북미로 확장되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 트렌드 등, 오늘날 모빌리티 산업의 격변을 생생히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

🚗 하이라이트: Global Mobility Innovation Gathering

S-Tron, The Drivery Shanghai, 그리고 WeWork China가 공동 주최한 이 행사는 상하이 Weihai Road에 위치한 WeWork 에서 열렸습니다. 이 곳에는 모빌리티 분야의 전 세계 스타트업, 전문가, 그리고 주요 기업 인사들이 한자리에 모여 미래 모빌리티 혁신에 대한 비전을 나누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123 Factory를 대표하여 이은서 대표와 김은빈 지속가능성 디렉터가 행사에 적극 참여하였고, 123 Factory를 소개하고, 모빌리티 분야 지속 가능성에 대한 패널 토론에 참여하였습니다. 상하이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다양한 모빌리티 분야의 파트너들과 교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123 Factory는 "진정한 혁신은 협력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믿음 아래, 글로벌 네트워크를 지속적으로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새로운 파트너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혁신과 기술 발전을 이끄는 여정을 힘차게 이어가겠습니다. 😊

주요 행사 일정

  • Battery Day Munich - KOTRA Munich
    5월 8일(목)  | 뮌헨, 독일  | 모빌리티
    5월 7일~9일 뮌헨에서 열리는 인터배터리 유럽(Inter Battery Europe 2025) 행사 중 열리는 코트라 뮌헨 무역관의 배터리 데이 행사입니다. (123 Factory도 방문 예정😉)

  • Eureka - Call for Circular Value Creation Brokerage Event
    5월 22일 (목) | 온라인 | R&D, 펀딩
    순환 가치 창출 브로커리지 행사. 6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는 순환 가치 창출 자금 지원 기회에 대한 R&D 프로젝트 신청 웨비나.

  • Horizon Europe Pillar 2 웨비나 – Work Programme 2025
    5월 13일 (화) 4시(KST) | 온라인
    필라2 참여 준비 방법, 과제 참여 사례, 워크프로그램 2025 주요 내용 등

  • Vitafoods Europe
    5월 20일 (화) - 22일 (목) | 바르셀로나, 스페인 | 건강보조식품
    글로벌 건강기능식품의 중심 허브로, 참가자의 약 96%가 의사 결정권자이므로 다양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합니다.

  • Greentech Festival Berlin
    5월 20일 (수) - 22일 (목) | 베를린, 독일 | 그린테크, 지속가능성
    기후 기술,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재생에너지 등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기술과 솔루션을 다루는 글로벌 행사로, 전시, 컨퍼런스, 시상식이 함께 열리며 기업, 스타트업, 정책 결정자들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 GITEX EUROPE
    5월 21일 (수) - 23일 (금) | 베를린, 독일 | 정보통신
    유럽 최대의 기술, 스타트업, 디지털 투자 행사로, 전 세계 혁신가와 업계 리더들이 모여 유럽의 디지털 경제를 주도하는 플랫폼입니다.

  • TradeKorea Matching Day
    5월 27일 (화) | 서울 | 소비재 B2B
    한국 공급업체와 국제 바이어 간 B2B 매칭을 촉진하는 행사로, 다양한 산업에서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 파트너를 연결합니다.

  • ARCTIC15 Startup Conference
    6월 4일 (수) - 5일 (목) | 헬싱키, 핀란드 | 스타트업&투자자 네트워킹
    핀란드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투자 행사로, 유럽 전역의 스타트업과 VC, 엔젤투자자, 기업 파트너들이 1:1 미팅 기반의 비즈니스 매칭을 통해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실질 중심의 네트워킹 이벤트입니다.

주요 투자 소식

  • 🇬🇧 Marshmallow (인슈어테크), 약 6,800만 파운드 투자 유치

  • 🇩🇪 Fleming (디지털 헬스 AI), 4,000만 유로 투자 유치

  • 🇬🇧 Poolhouse (마케팅 플랫폼), 3,400만 달러 투자 유치

  • 🇬🇧 Nyobolt (고출력 배터리 기술), 3,000만 달러 투자 확보

  • 🇧🇪 Ageas (디지털 보험), 영국 본사의 Esure 약 13억 파운드에 인수

  • 🇬🇧 Strava (디지털 헬스), 영국 러닝 앱 Runna 인수 → API 개발자 커뮤니티 투자 확대

  • 🇬🇧 Banked (결제 플랫폼), Nick Candy가 지원하는 VibePay 인수

  • 🇩🇪 Pliant (기업 결제/카드 플랫폼), hi.health 인수하며 디지털 보험 결제 시장 진입

  • 🇩🇪 FreeNow (모빌리티 플랫폼), 미국의 Lyft에 1억 7,500만 유로에 인수 예정

  • 🇫🇷 Didomi (데이터 프라이버시 컴플라이언스), Marlin Equity로부터 7,200만 유로 투자 유치

  • 🇫🇷 Auum (친환경 유리 세척기 개발), 시리즈 B에서 1,500만 유로 조달

  • 🇬🇧 CSignum (해저 IoT 통신), 시리즈 A에서 600만 파운드 유치

  • 🇳🇱 CarePay International (헬스케어 보험 플랫폼), 500만 유로 투자 유치

  • 🇪🇸 TaxDown (세금 어시스턴스 솔루션), 400만 유로 투자 유치

  • 🇬🇧 Cloud Retail (이커머스 플랫폼), 시드 펀딩으로 300만 달러 유치

  • 🇳🇱 Zeno (AI 기반 법률 플랫폼), 200만 유로 투자 유치

뉴스레터를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23 Factory는 유럽과 한국의 혁신 생태계를 잇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여러분이 새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기대해 주세요! 🚀

커뮤니티와 공유하고 싶은 뉴스나 제안이 있다면 언제든 [email protected]에 공유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