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y’s Post #5

[123 Factory] 월간 뉴스레터 2025년 6월호

123 Factory의 뉴스레터 Factorys Post를 시작합니다! 🚀

한국의 스타트업과 혁신가들을 위한 유럽 및 독일의 펀딩 기회부터 스타트업 동향, 한국-유럽 생태계 소식까지, 비즈니스 성장에 꼭 필요한 인사이트를 매월 전해드립니다. 쉽고 알찬 정보로 유럽 시장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유럽 벤처투자의 현재와 미래는 어디로 향하고 있을까요?

지난주, 저희 123 Factory 팀은 GITEX Europe 2025에서 베를린의 주요 VC들이 참여한 패널 토크 “The Capital’s Capital: What Berlin’s VCs Are Betting On”에 참석하여 VC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현장에서 직접 듣고 정리한 VC들의 답변을 바탕으로 VC가 어떻게 산업별 가능성과 리스크를 평가했는지를 자세히 소개합니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헬스 분야에 대한 높은 기대, AI 붐 속에서 우려되는 ‘불안정한 단기 매트릭스’, 그리고 시드에서 시리즈 A로의 진입 장벽 상승 등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의 현재를 설명해주는 중요한 지표들도 공유되었습니다.

지금 유럽 VC들이 진짜로 베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시죠! 👇

❓지난 2-3년간 초기단계 VC 씬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요?

  • 소비재 중심 → 인프라, 헬스케어, 딥테크 중심으로 전환

  • 초기 단계 투자도 성숙해졌으며, 하이프보다는 실적 기반 투자로 변화

  • 펀드 규모 양극화 현상도 발생: 메가펀드 <-> 소규모 단독 마이크로 VC 펀드

💥현재 어떤 섹터가 과대평가/과소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나요?

이 질문에는 모든 패널이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했으나, 한편으로는 극명한 의견 차이가 있었습니다.

🟨Lennie Schlund (caesar.Ventures, Investment Analyst)

  • Overrated: 핀테크 (FinTech)

    • 과거에 베를린에서 크게 성장했으나 현재는 과도한 기대감이 많다고 판단

    • 이미 경쟁이 치열하고 규제 문제로 인해 AI 적용도 쉽지 않음

  • Underrated: 디지털 헬스케어 (Digital Health)

    • AI를 접목할 수 있는 지렛대가 크며, 기존 레거시 시스템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있음

    • 헬스케어 산업의 구조적 혁신 가능성이 매우 높음

🟧 Marlon Müller (Neosfer, Investment Manager)

  • 핀테크는 과대평가라기보다는 변화에 적응 중인 과도기적 상태라고 설명

    • 보안과 규제 문제 때문에 시장 적응이 느림

    • 하지만 12개월 이내에 큰 발전 가능성 있음

    • 소비자 대상 핀테크 제품은 특히 변화 속도가 느림

🟥 Frederike Wolff (Redstone, Investor)

  • 핀테크는 과대평가되지 않았음

  • 명확히 "overrated/underrated"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았으나,

    • 전반적으로 AI 관련 스타트업이 비기술 창업자에게도 열려 있는 등, AI 기반 신생 기업 확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흐름을 언급

❓시드에서 시리즈 A 단계로 넘어가는 걸 어려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벤치마크의 상향: 과거보다 기준이 훨씬 높아짐 (예: ARR 100만 유로 → 200만 유로)

  • 2021년 고평가를 받고 투자받은 스타트업들이 이후 성장 못 따라감 → 시장 조정

  • 내부 라운드(internal round) 성장: 공개적으로 시리즈 A를 발표하지 않고, 기존 투자자들끼리 자금을 돌리며 기준을 맞추는 경향

  • 산업별 차이: 에너지·지속가능성 분야에서는 여전히 Series A 성사율 높음

❓VC가 주목하는 창업자의 자질은 무엇인가요?

🟩👍

  • 집요함(Obsession): 문제 해결에 몰두

  • 회복력(Resilience): 실패를 겪고도 일어서는 힘

  • 전문성(Profession): 특히 복잡한 산업에서의 전문 지식 필수

  • 유연성(Flexibility): 고객 피드백을 빠르게 반영. 특히 프리시드 단계에선 제품 방향을 유연하게 바꿀 필요 있음.

  • 팀 & 협업: 팀 전원이 제품이나 고객 문제에 몰두하는지. 팀 구성원 간의 시너지 중시.

🟥👎

  • 꾸미는 태도 → 문제점을 솔직하게 말하는 것이 신뢰를 높임

  • 투명하지 않은 태도 → 숫자, 트랙션에 대한 솔직함이 필수. 실제로 숫자 조작으로 투자 철회된 사례도 언급됨

❓앞으로의 베를린, 혹은 유럽 VC 생태계의 전망은?

  • 유럽 VC 씬: 규제와 정치적 환경이 어렵긴 하지만 오히려 시장 조정(Correction)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

  • 프리시드 생략, 바로 시리즈 A로 가는 구조: AI 기반 작은 팀, 낮은 비용, 빠른 제품화 → 베를린과 같이 숙련된 인재가 미국에 유출되는 유럽 지역에겐 큰 기회.

  • 방위산업/레질리언스(Resilience) 스타트업의 부상

  • AI 열풍 속 붕괴 가능성 있는 스타트업도 많을 것

이번 패널토크에서 드러난 베를린 VC들의 시선은 분명했습니다.

투자는 기술 그 자체보다, 그 기술이 풀고자 하는 문제에 창업자가 얼마나 집요하게 매달리는가, 그리고 그 팀이 진실되고 지속가능하게 성장할 수 있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뜨거운 섹터 속에서도 승자와 패자가 나뉘는 지금, 중요한 건 트렌드를 좇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해석하고 집요하게 실행하는 창업자와 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AI와 디지털 헬스, 핀테크와 인프라 등 유망 분야를 중심으로 유럽 VC들의 전략이 세분화되고 있는 지금, 한국 스타트업에게도 기회는 열려 있습니다.

여러분의 실질적인 다음 스텝에 123 Factory도 함께 하겠습니다 🧭

지원 정

🌟 EUREKA Lightweight Call 기술 공동 연구개발 공모사업 안내

The EUREKA Lightweighting Call 은 경량화 기술 분야의 국제 공동 R&D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자원 절감, 성능 향상, 에너지 효율 증대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상업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술을 대상으로 합니다.

📘 프로그램 개요

  • 공모명: EUREKA 경량화 기술 국제 공동연구 공모 (Transnational Eureka Lightweighting Call - Eureka)

  • 공모 기간: 5월 15일 – 10월 23일

  • 참여 국가: 오스트리아, 벨기에, 칠레, 프랑스, 독일, 리투아니아,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대한민국, 스페인, 터키, 우크라이나

  • 매치메이킹 플랫폼 (무료): 프로젝트 피칭 및 파트너 연결 기능 포함 Eureka Lightweighting Call 2025

📌 주요 기술 분야

  • 모빌리티: 자동차, 항공우주, 철도, 조선 등

  • 일반 산업군: 기계, 건설, 에너지, 헬스케어, 농업 등

  • 핵심 기술 분야: 경량 소재, 스마트 설계, 첨단 제조, 디지털 트윈, AI 기반 공정 제어, 재활용 기술, 접합 기술,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 신청 자격 요건

  • 컨소시엄 구성: 최소 2개국, 독립된 2개 이상의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컨소시엄

  • 기술성 및 상용화 가능성: 기술성숙도(TRL) 4~6 수준의 프로젝트

  • 국제 협력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명확해야 함

  • 프로젝트 최대 기간: 36개월

  • 단일 국가 또는 기관의 예산 비중: 전체 프로젝트 예산의 70% 초과 불가

  • 승인 후 컨소시엄 협약서(Consortium Agreement) 제출 필수

Country

Funding Agency

Type of Support

Company Funding Rate (S/M/L)

Research Institute Rate

Max Grant or Conditions

Austria

FFG

Grant

80% / 70% / 55%

85%

Up to €2,000,000

Belgium (Wallonia)

SPW Research

Grant

40%–80%

Up to 20% subcontracting allowed

-

Belgium (Flanders)

VLAIO

Grant

Up to 60%

-

Up to €500,000

Germany

BMWK (e.g., ZIM)

Separate Program

According to ZIM rules

According to ZIM rules

Apply through ZIM or other national programs

South Korea

KIAT

Grant

67% / 50% / 33%

Up to 100%

Approx. €370,000 per year

관심 있는 기관은 프로젝트 아이디어 구상과 파트너 탐색을 위해 조기 준비를 권장합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웹사이트에서 확인해 보세요.

🌟 독일 진출을 위한 €10,000 지원 패키지 - NRW Welcome Package

사진=NRW Global Business

123 Factory는 독일 및 유럽 시장에서의 파트너십 확대를 위해 다양한 기관들과 미팅을 진행하고 있는데요, 그중 NRW.Global Business 팀과의 미팅을 통해, 무려 1만 유로의 지원금과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NRW Startup Welcome Package를 안내받게 되어 이렇게 공유드립니다.

NRW(Global Business)는 국제 기술 스타트업의 독일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Startup Welcome Package를 제공합니다. 이 패키지는 다음과 같은 혜택을 포함합니다:

  • €10,000 지원금: NRW 내 코워킹 스페이스 임대(최소 90일) 및 기술/인큐베이터 센터 이용에 사용 가능

  • 맞춤형 컨설팅 서비스: B2B 매칭, 세무 및 법률 자문, 멘토링, 코칭 등

📌 신청 자격

  • 설립 10년 이내의 기술 기반 스타트업

  • 직원 수 250명 미만, 연매출 5천만 유로(한화 약 79억원) 이하

  • 독일 외 국가에 본사가 등록돼 있고, 아직 독일에 법인 설립이 안 된 스타트업

📍 NRW의 스타트업 생태계

NRW(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는 독일의 대표적인 산업중심지로서 다양한 산업군과의 협업 기회를 제공합니다. 우수한 대학과 연구 기관 또한 밀집해 있어 풍부한 인재 풀을 자랑합니다.

Startup Welcome Package에 대한 더욱 자세한 혜택은 👉여기에서 확인해 보세요!

Market Entry

🌍 세계로 나아가는 새로운 방향: 역방향 진출의 가속화

사진=egnis.kr 

사우디아라비아의 푸드테크 스타트업 ‘칼로(Calo)’가 영국 밀키트 기업 ‘프레시 피트니스 푸드’와 ‘디톡스 키친’을 인수하며 유럽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는 그간 유럽 기업들이 중동 시장을 공략하던 흐름과 반대되는 이례적 움직임으로, 중동 기업의 ‘역방향 진출’ 흐름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신호탄으로 해석됩니다.

칼로는 AI 기반 개인 맞춤형 밀키트를 제공하는 구독형 플랫폼을 운영하며 최근 시리즈B 투자로 약 2억5000만달러의 기업가치를 인정받았습니다. 이번 인수는 사우디의 국가 전략인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석유 의존도에서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려는 행보로 보입니다 (기사).

이처럼 글로벌 진출에는 반드시 본국에서 출발해 해외로 확장하는 전통적인 방식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 상황과 기업 전략에 따라, 낮아진 기업가치를 활용한 인수합병이나 해외 현지화를 통해 역방향으로 진출하는 사례 또한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각국 스타트업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글로벌화의 방향은 더욱 다양하고 유연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Startups

📉 파산하자마자 새로운 스타트업 설립해 수백만달러 투자 유치한 前 ‘유럽 배터리의 희망’

‘유럽 배터리의 희망’으로 불리던 노스볼트(Northvolt)가 지난 3월 7조 9,000억 원의 부채를 안고 파산했습니다. 노스볼트의 몰락은 단순한 스타트업 실패를 넘어, 유럽 배터리 전략의 구조적 취약성과 정책 실행력 부족을 적나라하게 드러냈습니다. 특히 독일 등 공공 자금이 투입된 프로젝트의 향방이 불투명해지면서 유럽 각국 정부에도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논란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노스볼트 전 CEO 피터 칼손(Peter Carlsson)이 파산 발표 불과 3개월 만에 새 스타트업 ‘아리스 마키나(Aris Machina)’를 설립하고, 유럽 VC들로부터 빠르게 투자금을 유치했기 때문입니다. 일부 전문가와 업계 인사들은 이를 ‘책임 회피’ 혹은 ‘벤처 생태계의 구조적 편향’으로 비판하고 있습니다.

유럽이 ‘실패에 관용한 혁신 생태계’를 지향하더라도 책임 없는 실패, 특권 위에 선 실패가 반복되는 시스템은 건강하지 않습니다. 이번 사례는 유럽 스타트업 생태계가 앞으로 어떤 기준과 책임 윤리를 정립해야 하는지 묻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이은서 123 Factory 대표의 칼럼 “[유럽스타트업열전] 노스볼트 파산과 전 CEO의 '너무 빠른' 재창업 논란”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주요 행사 일정

  • The Battery Show Europe
    6월 3일 (화) - 5일 (목) | 슈투트가르트, 독일 | 배터리, 모빌리티, 에너지
    배터리 기술 및 전기·하이브리드 차량 기술 박람회로, 첨단 배터리 기술,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 부품, 에너지 관리 솔루션 등 전동화 산업의 혁신을 선보이는 글로벌 행사

  • Chemspec Europe
    6월 4일 (수) - 5일 (목) | 쾰른, 독일 | 케미컬
    특수화학 및 정밀화학 분야 전문가들이 맞춤형 솔루션을 거래하고 교류하는 전문 전시회

  • Investor Days Türingen
    6월 4일 (수) - 5일 (목) | 튀링엔, 독일 |
    스타트업과 투자자가 만나 파트너십과 투자 기회를 모색하는 독일 튀링엔 지역의 대표적인 스타트업 행사

  • E-Waste World Conference & Expo 2025
    6월 11일 - 12일 | 프랑크푸르트, 독일 | 재활용
    전자 폐기물 재활용 및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한 최신 기술과 전략을 소개하는 국제 컨퍼런스

  • VIVATECH 2025
    6월 11일 - 14일 | 파리, 프랑스 | 테크, 스타트업
    글로벌 기술기업과 스타트업이 모여 미래 혁신과 디지털 전환을 논의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테크 박람회

  • SIAE 2025
    6월 16일 - 22일 | 파리, 프랑스 | 항공
    민간 및 방위 항공산업의 최신 기술과 기체를 선보이는 프랑스 파리 에어쇼

  • INTERSOLAR EUROPE 2026
    6월 23일 (월) - 25일 (수) | 뮌헨, 독일 | 태양광
    태양광 발전, 태양광 기술, 그리드 인프라 및 재생 에너지 솔루션

  • Automatica 2025
    6월 24일 (화) - 27일 (금) | 뮌헨, 독일 | 산업기술, 모빌리티
    스마트 자동화와 로보틱스 기술의 최신 동향을 공유하는 산업 기술 전시회

  • NextRise 2025
    6월 26일 (목) - 27일 (금) | 서울 | 글로벌 스타트업 박람회
    글로벌 스타트업과 대기업이 만나 혁신과 협업 기회를 창출하는 아시아 대표 스타트업 박람회로 올해 Focus 국가는 독일이다.

주요 투자 소식

  • 🇬🇧 Butternut Box (펫푸드), 7,500만 유로 투자 유치

  • 🇩🇪 Ionity (전기차 충전 인프라), 6억 유로 투자 유치

  • 🇬🇧 Legora (리걸테크), 시리즈 B 라운드에서 8,000만 달러 투자 유치 (기업가치 6.75억 달러)

  • 🇩🇪 OneDoc (의료 예약 플랫폼), 경쟁사 Medicosearch 인수

  • 🇸🇪 Nyemissioner.se (핀테크), Finance Lab과 합병 통해 플랫폼 고도화 예정

  • 🇬🇧 Build in Amsterdam (디지털 에이전시), 미국 Front Row에 인수됨 (글로벌 이커머스 역량 강화 목적)

  • 🇳🇱 Azafaros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1.32억 유로 투자 유치

  • 🇪🇸 Xoople (지구 관측 AI), 1.15억 유로 투자 유치

  • 🇬🇧 Ascendx Cloud (AI 기반 CRM 데이터 솔루션), 1.1억 달러 투자 유치

  • 🇫🇷 Cathay Innovation (VC), AI 중심 멀티스테이지 펀드 10억 유로 조성

  • 🇬🇧 Hormona (AI 기반 여성 호르몬 헬스케어), 670만 달러 투자 유치

  • 🇵🇹 TEKEVER (디펜스테크), 신규 투자 유치로 유럽 방위 산업계 유니콘 등극

  • 🇬🇧 Wagestream (급여 기반 금융 플랫폼), 3억 파운드 규모 부채 조달 완료

  • 🇩🇪 Quantum Systems (AI 기반 항공 정보 솔루션), 1.6억 유로 투자 유치

  • 🇩🇪 Parloa (AI 고객 응대 플랫폼), 1.05억 유로 투자 유치

  • 🇳🇱 Finom(중소기업 대상 디지털 뱅크), 1.05억 달러 성장 자금 유치

123 Factory

뉴스레터를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23 Factory는 유럽과 한국의 혁신 생태계를 잇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여러분이 새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기대해 주세요! 🚀

커뮤니티와 공유하고 싶은 뉴스나 제안이 있다면 언제든 [email protected]에 공유 부탁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