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actory's Post 🇰🇷
- Posts
- Factory’s Post #6
Factory’s Post #6
[123 Factory] 월간 뉴스레터 2025년 7월호

123 Factory의 뉴스레터 Factory’s Post를 시작합니다! 🚀
한국의 스타트업과 혁신가들을 위한 유럽 및 독일의 펀딩 기회부터 스타트업 동향, 한국-유럽 생태계 소식까지, 비즈니스 성장에 꼭 필요한 인사이트를 매월 전해드립니다. 쉽고 알찬 정보로 유럽 시장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지세요!
얼마 전에 상하이 오토쇼에서 예측한 자율주행의 미래를 공유드렸었죠?🧐 복잡한 기술, 보수적인 규제, 그리고 무엇보다도 ‘운전’이라는 행위의 책임을 인간이 아닌 알고리즘에 맡기는 것에 대한 사회적 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문가는 자율주행의 완전 도입에는 최소 15년은 걸릴 것이라고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도입이 생각보다 훨씬 더 앞당겨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미지=Moia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독일 폭스바겐의 자회사 MOIA에서 시작되었습니다. MOIA는 최근 세계 최초로 레벨 4 자율주행이 가능한 차량 ‘ID. Buzz AD’의 양산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레벨 4는 차량이 도로 상황을 스스로 판단하고 주행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간 운전자의 개입이 거의 필요 없는 ‘완전 자율주행’ 단계에 해당합니다. MOIA는 이 차량을 활용하여 유럽 주요 도시에서 로보택시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며, 이는 자율주행 기술이 기술 데모를 넘어 상업적 모빌리티 서비스로 진입하는 역사적인 이정표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흥미로운 점은, 이 흐름이 유럽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테슬라는 자율주행 전용 차량 기반의 로보택시 서비스를 이번 주말부터 텍사스 오스틴에서 시범 운영할 예정입니다. 일론 머스크 CEO는 이전부터 완전 자율주행(FSD, Full Self Driving)을 자사의 핵심 성장 전략으로 강조해왔으며, 이번 시범 사업은 이를 실제 수익 모델로 검증하려는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비록 초기에는 지정된 구간과 시간대에만 운영되겠지만, 이는 완성차 기업이 차량 판매를 넘어 모빌리티 플랫폼으로 전환하는 핵심 전략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ABC News
자율주행 시장은 이제 단순히 ‘누가 먼저 기술을 완성하는가’를 넘어, 어떤 방식으로 도시의 교통 시스템과 융합할 것인가, 어떻게 사용자 경험을 설계할 것인가 등의 복합적인 산업 전략의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에서는 웨이모(Waymo)가 피닉스와 샌프란시스코 등 일부 지역에서 이미 완전 무인 택시를 상업 운영 중이며, 구글 모기업 알파벳(Alphabet)의 지원을 기반으로 안정성과 운영 효율성을 축적해왔습니다. 이제 여기에 폭스바겐과 테슬라가 본격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자율주행 모빌리티 생태계는 기술력, 인프라 통합 능력, 브랜드 신뢰도를 종합적으로 겨루는 차세대 시장 경쟁 국면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의 스타트업과 기업가들에게 이 흐름은 자율주행 기술이 단순한 하드웨어 경쟁을 넘어, ‘도시 교통 시스템과 어떤 방식으로 융합될 것인가’에 대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특히 국내 기술 스타트업들은 자율주행 차량의 '두뇌' 역할을 하는 AI 기반 경로 설계, 실시간 교통 예측, 차량 간 통신(V2X), 에지 컴퓨팅 기술 등 다양한 서브 솔루션 영역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폭스바겐과 테슬라의 사례처럼 차량 자체보다 ‘운영 모델’과 ‘서비스 구조’가 핵심이 되는 시대에서는, 차량 내 콘텐츠 경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계, 마이크로 모빌리티 연계 서비스 등 B2C 접점의 창의적인 설계 능력이 글로벌 진출의 무기가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시장의 규제 환경이나 인프라 제약 때문에 주저하고 있었다면, 지금은 글로벌 OEM과 협력하거나 해외 도시 중심의 파일럿 프로젝트에 먼저 탑승하는 전략을 모색할 때입니다. 글로벌 플레이어들이 선보이고 있는 초기 상용 서비스들을 면밀히 관찰하면, 아직 채워지지 않은 틈새 기술과 운영 구조가 명확히 보입니다.
자율주행차의 시대는 ‘이미 시작된 현재’입니다. 기술이 도시를 어떻게 바꾸고, 사용자의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직접 목격하고 있는 지금, 이 전환의 방향을 함께 고민해 보시죠.
딥테크
🤖 NVIDIA의 유럽 공세, 촉매제 혹은 주권 위기?
NVIDIA는 최근 유럽 전역에 걸쳐 AI 인프라 확충 계획을 발표하며, 유럽 내 AI 경쟁력 강화와 디지털 주권 확보를 위한 대대적인 행보를 시작했습니다. CEO 젠슨 황은 VivaTech 파리 기조연설 등에서 향후 2년 내 유럽 내 AI 컴퓨팅 역량을 10배 이상 증가시키겠다고 선언했으며, 이미 프랑스, 독일, 영국, 이탈리아 등 주요 국가에서 AI 데이터센터와 ‘AI 기가펙토리’ 구축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NVIDIA 중심의 AI 인프라 확대는 유럽이 미국 기술 기업에 다시 의존하게 될 위험을 낳고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하드웨어가 국경 안에 위치해도, 기술적 핵심은 여전히 미국에 있다”며 진정한 디지털 주권 확보를 위해선 자국 중심의 생태계 구축이 병행돼야 한다고 경고합니다 .
그럼에도 NVIDIA의 투자는 단순한 위협이 아니라 유럽 AI 생태계 전반을 견인하는 촉매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 국가와 통신사, CSP가 NVIDIA와 협력해 대규모의 AI 인프라를 구축 중이며 스타트업 지원을 포함한 정부 정책도 속속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번 NVIDIA의 유럽 확장은 컴퓨팅 역량의 단기적 급증과 함께 주권 이슈라는 긴장 요소를 동시에 드러냅니다. 앞으로의 기술 수익 배분과 글로벌 경쟁력 구축 과정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때입니다. Sifted 기사 보기
스타트업
🛡️ 전쟁 긴장감 속 떠오르는 유럽 방산 시장
독일의 AI 기반 방산 스타트업 헬싱(Helsing)이 최근 6억 유로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 가치를 120억 유로로 끌어올렸습니다. 전직 팔란티어 CTO가 공동 창업한 헬싱은 NATO와 유럽 각국 정부를 고객으로 삼아, ‘유럽형 안보 테크’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AI를 통해 전투기, 드론, 레이더 등을 실시간 분석하는 ‘전장 소프트웨어’에 집중하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하지만 미국의 팔란티어나 안두릴과는 달리, 헬싱은 정부 규제, 방산 기피 여론, 기술 기반의 한계 등 여러 제약에 직면해 있습니다. 유럽의 방산 시장은 미국보다 훨씬 분산되고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빠른 스케일업이 어려운 구조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헬싱은 조용하지만 탄탄한 확장 전략으로 유럽 내 AI 방산 생태계를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기술력과 신뢰 기반의 이중 전략이 유럽형 방산 스타트업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123 Factory 이은서 대표의 칼럼 “[유럽스타트업열전] '조용히' 성장한 방산 스타트업 '헬싱'의 앞날은?”을 확인해 보세요.
투자
💰 유럽 VC의 새 흐름: '컨티뉴에이션 펀드' 붐
올해 상반기 유럽 벤처캐피탈(VC) 시장에서 '컨티뉴에이션 펀드(Continuation Fund)'가 급증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해당 펀드는 포트폴리오 기업 일부를 별도 펀드에 이관해 성과가 좋은 자산을 계속 보유할 수 있도록 만든 구조입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상반기에만 약 54억 유로(약 8조 원)가 유입됐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두 배 가까운 증가폭입니다.
이 펀드 구조는 IPO 시장 위축과 엑싯 지연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존 투자자들에게는 유동성을 제공하면서, 운용사(VC)는 유망한 포트폴리오를 더 오래 가져갈 수 있어 '윈윈 구조'로 평가됩니다. 유럽 주요 VC인 EQT, 알반캐피탈, 아셋매니지먼트원 등이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컨티뉴에이션 펀드는 불확실한 시장 속에서도 성장 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새로운 VC 전략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와 스타트업에게도 유럽 자금 유입 구조의 변화와 긴밀한 파트너십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기사와 함께 베를린의 VC가 직접 말한 트렌드를 정리한 123 Factory의 아티클을 확인해 보세요.
123 Factory, Now
🔔 ClimAccelerator 공식 파트너사 선정!

123 Factory가 유럽 최대의 기후 혁신 네트워크 Climate-KIC가 주관하는 글로벌 프로그램, ClimAccelerator의 한국 최초 참여 기관으로 선정되었습니다!
ClimAccelerator는 유망한 기후 기술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대표적 액셀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2025년 프로그램은 EU 그린딜 및 Fit for 55 전략과 연계되어 기획되었습니다.
저희는 앞으로 이 프로그램을 통해 클라이밋 솔루션을 보유한 스타트업들이 유럽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멘토링, 파트너 매칭, 투자 피칭, PoC 연계 등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모집이 시작되면 뉴스레터 구독자분들께 가장 먼저 안내드릴게요. 🤩 ESG, 기후테크, 환경 분야에 관심 있는 기업이라면 이번 기회를 기대해 주세요!
🫱🫲 Speed-Networking Special @ CHIC

지난 주, 123 Factory 팀은 새롭게 이사한 공간 CHIC에 열린 스피드 네트워킹 이벤트에 참여했습니다.
*스피드 네트워킹이란?
참가자들이 3분 내외의 짧은 시간 동안 자신과 하는 일을 소개하고, 곧바로 테이블을 이동해 다음 참가자와 대화를 이어가는 포맷입니다. 빠른 시간 안에 다수의 사람들과 연결될 수 있어, 유럽의 코워킹 스페이스나 커뮤니티 밋업에서 자주 열리는 인기 포맷이죠. 특히 네트워킹과 인맥 관리가 중요한 유럽 창업 생태계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날 행사는 짧고 강렬한 3-4분간의 대화를 반복하며 진행됐고, 약 40분 동안 10개 팀과 연결되는 밀도 높은 시간이었습니다. TU Berlin 옆에 위치한 CHIC답게, 기술 기반 스타트업과 스핀오프 기업들이 유독 많았던 점도 인상적이었어요. 창업자, 프리랜서, 연구자 등 다양한 배경의 참가자들과의 만남은 네트워킹의 즐거움을 새삼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유럽에서 새로운 커넥션을 만들고 싶다면?
다음 현장에서 123 Factory와 함께해요!
주요 행사 일정
Berlin Fashion Week
6월 30일 (월) - 7월 4일 (금) | 베를린, 독일ZELLCHEMING-Expo 2025
7월 1일 (화) - 7월 3일 (목) | 비스바덴, 독일 | 제조업
Trade show and 119th General Annual Meeting for the pulp, paper and fiber-based industries and their suppliersWeAreDevelopers World Congress 2025
7월 9일 (수) - 7월 11일 (금) | 베를린, 독일 | 개발
The World's Leading Event for Developers, AI Innovators & Tech LeadersEUREKA Lightweight Call 기술 공동 연구개발 공모사업
지원 마감: ~10월 23일
주요 투자 소식
🇩🇪 Helsing (AI 기반 방위 기술), 6억 유로 투자 유치로 기업가치 120억 유로 돌파
🇸🇪 Polestar (전기차 제조사), 1억 7,400만 유로 지분 투자 유치
🇫🇷 Animaj (아동용 유튜브/AI 콘텐츠 제작사), 7,500만 유로 투자 유치
🇩🇪 Ostrom (디지털 친환경 에너지 공급), 시리즈 B 라운드에서 2,000만 유로 투자 유치
🇫🇷 Sifflet (AI 기반 데이터 가시성 플랫폼), 1,800만 달러 투자 유치
🇳🇱 Finom (중소기업용 금융 플랫폼), 시리즈 C에서 1억 1,500만 유로 투자 유치 및 M&A 확대 예정
🇵🇹 Sword Health (정신 건강 솔루션), 3,460만 유로 투자 유치
🇫🇷 Pelico (AI 기반 공급망 운영 플랫폼), 3,470만 유로 투자 유치
🇩🇪 Mercanis (AI 기반 조달 자동화 플랫폼), 1,730만 유로 투자 유치
🇩🇪 NaroIQ (AI 기반 펀드 인프라 구축), 580만 유로 투자 유치
🇧🇪 Bizzy (AI 세일즈 에이전트), 유럽 확장을 위해 400만 유로 투자 유치
🇩🇪 Holidu (여행 검색 플랫폼), 후기 단계 펀딩에서 4,600만 달러 투자 유치
🇫🇷 Kolet (여행자 대상 eSIM), 시리즈 A에서 1,114만 달러 투자 유치
🇪🇸 SpliceBio (안과 질환 치료제 개발), 1억 3500만 달러 시리즈 B 투자 유치
🇪🇸 Abacum (비즈니스 플래닝 SaaS), 5,250만 유로 시리즈 B 투자 유치
123 Factory
뉴스레터를 함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123 Factory는 유럽과 한국의 혁신 생태계를 잇기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고, 여러분이 새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기대해 주세요! 🚀
커뮤니티와 공유하고 싶은 뉴스나 제안이 있다면 언제든 [email protected]에 공유 부탁드려요 😀